2024년 2월 개봉한 미스터리, 공포, 오컬트 장르의 대한민국 영화 파묘를 소개합니다.
<영화 '파묘' 줄거리>
무당 '화림'과 '봉길'은 누군가 계속 비명을 지르는 기이한 현상이 대를 잇고 있는 집안의 장손에게 의뢰를 받아 미국 LA에 거액의 의뢰를 받고 방문합니다. '화림'은 이러한 이상 현상이 조상의 묫자리로 인한 문제임을 알아채 이장을 권하게 됩니다. 이를 위해 한국 최고의 풍수사 '상덕'과 한국 최고의 장의사 '영근'과 함께 이 집안의 수상한 묫자리를 파헤쳐보기로 했습니다.
"전부 잘 알거야... 묘 하나 잘못 건들이면 어떻게 되는지"
절대 사람이 묻혀서는 안되는 악지에 자리잡고 있는 묘
풍수사 상덕은 불길한 기운에 이번 파묘 의뢰를 거절하려 하지만, 화림의 설득으로 결국 파묘를 진행하게 되었고, 이후 절대 나와사는 안될 것이 등장, 그리고 숨겨진 집안의 비밀과 역사적 사실을 알게 됩니다.
<영화 '파묘' 출연지 & 등장인물>
흙의 맛을 보며 땅의 기운을 느끼고, 좋은 땅을 찾는 최고의 풍수사 '상덕' (최민식)
LA까지 거액의 의뢰를 받는 능력있는 무당 '화림' (김고은)
전 대통령들의 마지막 가는 길에 예를 갖추는 장의사 '영근' (유해진)
화림의 보조를 하고 있는 MZ 박수무당 '봉길' (이도현)
※스포주의 ※
영화 파묘는 사바하, 검은 사제들을 연출한 장재현 감독의 오컬트 시리즈물 중 3번째 작품입니다.
기존 작품인 사바하는 사이비 종교를 다루었고, 검은 사제들은 가톨릭교의 퇴마의식, 파묘는 한국의 무속신앙을 주제로 스토리가 전개 됩니다.
영화 파묘를 보기 전 많은 분들이 단순한 오컬트 공포물로 알 수 있지만 장재현 감독의 전작들을 안다면 절대 단순한 오컬트물이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종교 이외에 숨겨진 다른 의미를 잘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이 영화를 더 재밌게 보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흥행요소
첫째, 감독
제가 이 영화를 본 후 조사를 하며 알게 된 사실 중 가장 흥미로웠던 것은, 감독님에 대한 사실입니다.
감독님의 전작만 봐도 상당히 종교적인 것인 많은 관심을 갖고 있구나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요, 뿐만아니라 감독님은 크리스찬이자 교회 집사님이란 사실이 참 흥미롭게 다가옵니다.
둘째, 무속신앙에 대한 약간의 상식
무속신앙에 대해 알지 못하는 분들이라면 이 영화가 말하는 파묘란 무엇을 의미하는 거며, 영화 속에서 하고 있는 행위들은 무슨 의미를 갖고 있는지 등을 간단히 알고 보신다면 더 이해하기 쉬울 것 같습니다.
셋째, 은어와 참외
파묘를 검색해보면 은어와 참외에 대한 이야기가 많습니다. 이것들이 의미하는 것을 깨닫게 되는 순간 감탄사가 나올 수 있습니다.
은어는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좋아하는 음식이자, 참외는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좋아하는 음식이라고 합니다. 고로 어떤 가문인지 테스트하기 위한 질문이었다 해석됩니다.
혹은 은어는 귀한 음식이자 맛있는 음식이며, 참외는 일본에서는 맛있는 것이라 생각하지 않았기에 어떤 음식을 대접하는지에 따라 상대의 충성도를 확인해 보았다는 해석도 있습니다.
이 외에도 무속신앙적이고 판타지적인 재미 요소들이 많이 있으니 즐겁게 보실 수 있으실 겁니다.
넷째, 무당이 휘파람을 부는 까닭
휘파람은 귀신의 존재를 파악하기 위한 행위입니다. 귀신은 소리나 반응으로 자신의 존재를 알린다고 합니다. 휘파람을 불지 못하면 무당들도 귀신의 존재를 잘 알 수 없다고도 합니다.
다섯째, 화림과 함께 있는 할머니
할머니는 화림의 돌아가신 친할머니이며 만신이었다고 합니다. 화림은 대를 이은 세습무 형태의 무당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섯째, 파묘 속 의뢰를 한 장남의 등산복
영화 속에서 나온 등산복에는 로고가 선명하게 드러났습니다. 이는 등산복의 로고의 의미가 중요한 요소였는데요, 등산복 브랜드명은 ‘아크테릭스(Arc’teryx)’ 이는 시조새를 의미하며, 영화적 해석으로 이는 그 집안의 조상을 의미합니다.
영화를 보셨다면 아시겠지만 이 집안의 조상은 친일파였습니다.
감상평
영화 파묘는 한국의 무속신앙을 배경으로 한 역사 영화라고 생각합니다. 일제강점기 시대부터 이어진 잔재들로 인해 벌어진 모든 일들은 영화를 보며 이 영화를 통해 대한민국의 땅이 겪고 있던 트라우마가 치유되지 않을까라는 감독의 메시지가 무척 와닿게 됩니다.